본문 바로가기
유튜브 log

주식 | 코로나로 인해 경기는 계속 나빠지는데 주식은 왜 자꾸 오르나요?

by 제너럴아나토미 2021. 3. 20.
728x90


요즘 같은 시장 상황에서 기준을 잡기 위해서는 다시 기본으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것! 밸류에이션
주가가 어느 정도 가격이어야 적당한가??

밸류에이션의 달인. 다모다교수님

 

 

뉴욕대 다모다 교수님

 

 

밸류에이션만 30년 이상 연구하신 분이시다.
이 분이 최근 깨달은 사실이 남들도 기업의 밸류에이션을 중요하게 생각할 줄 알았는데 그런것이 아니었다는 것을 발견하고 밸류에이션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 강의를 해야겠다고 결심했다고 한다.

레밍효과란?

 

 

 

 

레밍효과에서 레밍이란 쥐의 한 종류로 특징이 앞에 쥐를 무작정 이유 없이 따라가 절벽에 떨어져도 다 같이 몰살당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즉, 아무 생각 없이 따라다니는 것입니다. 레밍이 이런 상황에서 살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요?? 다모다 교수님은 구멍 조끼가 필요하고 주장했으며 그 구멍 조끼가 밸류에이션이고 합니다.

 

 

킹! 테슬라

 

 

요즘 상황에 대입해보면 나도 테슬라 사야 되나??아아!! 테슬라!! TechnoKing 테크노 킹 괴짜 머스크가 수장으로 있는 테슬라! 너도나도 테슬라를 외치고 있으며 기존 자동차 업체들의 시가총액을 연일 새롭게 뛰어넘고 있습니다. 그럼 이런 상황에서 다들 나도 테슬라를 사야 될 것인가? 아닌가? 테슬라 사야 하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로이터 연합뉴스

 

 

이때 필요한 것이 다모다 교수님이 말한 “구명조끼”인 밸류에이션이 필요합니다.

 

 

 

 

장표의 그래프를 살펴보시면
가로축 : 좌측은 안좋은 회사 / 우측은 좋은회사
세로축 : 위는 비싼 회사 / 아래는 싼회사

- 사야 될 회사는 우측 아래쪽인 싸면서 좋은 회사
- 팔아야 될 회사는 좌측 위쪽인 비싸면서 안 좋은 회사
- 기준선이 되는 것이 밸류에이션이다

밸류에이션을 위해 가정 먼저 알아야 할 개념은 금리라고 합니다.

 

금리의 구조

 

 

 

 

금리는 = F (성장 , 인플레, 리스크)
  • Growth :경제 성장률
  • Inflation : 인플레이션 : 화패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가 상승한다
  • Risk: 리스크 왜 경제가 안 좋은데 주가는 오르죠??
  • 여기서 말하는 경제는 다시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정부 / 기업 / 가계 여기서 말하는 주가는 상장 기업만 뜻합니다.
  • 하지만 경제는 위 세 가지 모두를 말하고 있습니다.
  • 그럼 다시 돌아와서 왜 경제가 안 좋은데 주가는 오르죠? 란 질문에 오류가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림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역사적으로 금리와 주가가 같이 움직인 적은 50:50으로 나타납니다.
즉, 금리와 주가는 크게 상관관계가 없다고 합니다.

 

 

 

 

주가가 올라가기 위해서는 3단계 과정이 있습니다.
1 경제가 좋아져 매출이 높아져야 하고
2 매출이 높아 기업의 마진인 많은 이익이 나야 하고
3 그 이익이 주가로 이어지기 위해서 기업의 밸류에이션이 들어가게 됩니다.
——
(참고로 1번에서 경제가 좋아져 매출이 좋아지는 공식은 무조건 맞지 않습니다. 이번 코로나 사태로이네 경제는 악화되었지만 네이버 아마존 쿠팡 같은 이 커머스 기업들은 오히려 성장했습니다. 또한 매출이 높다고 무조건 이익이 높은 것은 아닙니다. 회사 사정에 따라 마진 구조가 나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큰돈을 만질 수 있는 은행들은 이익은 높으나 주가가 낮습니다. 이런 이유는 은행들은 밸류에이션이 낮기 때문입니다.)

 

 

 

 

주가 = 이익 X 밸류에이션

쿠팡이나 테슬라처럼 이익이 낮거나 마이너스인 상황에서도 밸류에이션이 높은 기업들은 주가가 높아집니다.
은행은 이익이 많지만 주가는 낮습니다. 이 처럼 밸류에이션은 그 주식이 얼마나 매력적인가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주식시장의 지각변동

 

 

주식의 지도가 바뀌었다.

 

 

 

결론적으로
코로나로 인해 경기는 계속 나빠지는데 주식은 왜 자꾸 오르나요? 에 대한 답변은 3가지입니다.

 

  1. 경기, 경제가 나빠지는 것과 주식이 오르는 것은 관련이 없다.
  2. 불확실성이 많아졌다. 경매▲->매출->이익->주식▲ 이런 공식이 100% 맞지 않는 시대가 왔다.
  3. 주식시장의 지도가 바뀌었다. 

 

 

감사합니다.

오늘 유튜브 리뷰 끝!

 

출처

finviz.com/map.ashx
https://youtu.be/F8KUecFhMDU

PER와 PBR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혁신의 시대(f.이효석 SK증권 팀장)

 

댓글